산학일체형 도제교육 이란 ?
학생이 학교와 기업을 오가며 주요 직무분야 중심으로 학교에서는 기초이론을 배우고, 기업에서는 현장실무에 필요한 교육을 받는 한국형 도제식 교육 모델
도제식 교육
기업의 직업훈련과 학교의 이론교육을 결합한 형태로서, 기업이 직접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는 현장 중심 직업교육모델
- 독일·스위스에서 발전한 도제교육(Apprenticeship)을 우리 현실에 맞게 도입하였습니다.
- 학생이 학교와 기업을 오가며 배우면서 효과적으로 실무역량을 기릅니다.
- 학교에서는 이론교육과 기초실습을, 기업에서는 심화실습을 연계하여 실시합니다.
- 학교에서는 교사가, 기업에서는 숙련근로자를 기업현장교사로 지정하여 학생을 가르칩니다.
- 산업수요에 기반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여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합니다.
NCS(국가직무능력표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등의 내용을 국가가 체계화한 표준
산학일체형 도제교육 개념도
도제교육센터
기업의 교육훈련 부담 경감을 위해 거점학교 등에 설치하여 시설·장비를 확충, 도제교육에 참여하는 학교 및 기업이 공동 활용
※ 도제교육센터 설치장소에 따라 산업계주도형, 공동실습소형, 거점학교형, 단일학교형으로 구분
운영 모델 유형
운영 모델 유형 표
유형 |
모델 |
특성 |
①산업계 주도형 |
|
- 주요 산업별 단체 등에 도제교육센터를 설치하고,
- 인근에 위치한 학교 및 기업이 공동 활용
|
② 공동 실습소형 |
|
- 시도교육청에 도제교육센터를 설치하고
- 도제교육에 참여하는 학교 및 기업이 공동 활용
|
③ 거점 학교형 |
|
- 운영 역량이 우수한 거점학교에 도제교육센터를 설치
- 해당 사업단에 참여하는 학교 또는 기업이 공동 활용
|
④ 단일 학교형 |
|
- 학교 시설에 도제교육센터를 설치하고
- 해당 학교가 도제교육에 활용
|
추진배경
독일·스위스의 도제교육을 우리 현실에 맞게 도입·확대하여 직업교육의 현장성을 제고하고 고용 미스매치 해소에 기여('15~)
참여기업 및 학생의 제도 만족도가 매우 높으며, NCS 기반의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학교현장이 긴밀히 연계되는 새로운 직업교육 모델 제시
주요 추진경과
VIP 스위스 베른상공업직업학교 방문(’14.1.)을 계기로 도제식 직업교육 도입을 검토하고, ‘청년고용대책’을 통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도입방안 발표(’14.4.)
※ 스위스 도제식 직업학교를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로 명칭 변경
’16년 도제학교 확대·발전 방안 마련(’16.8.) 및 참여 학교 확대(’16~18.)
’18년 도제학교 내실화를 위해 성과평가 및 기간연장 평가 실시(’18~21.)
도제학교 운영직종 분야 확대를 위해 도제학교 신규선정(’21~23.)
※ (운영 현황) 78개 사업단, 167교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