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립 남녀공학 일반고(종합고)
1학년 | 2학년 | 3학년 | 대표번호 | 팩스 | ||||||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
1 | 22 | 22 | 1 | 24 | 24 | 1 | 23 | 23 | 031-644-7331 | 031-633-3276 |
식품가공이란 농, 축, 수산물을 원료로 물리,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변화를 주어 더욱 가치는 식품을 만들고, 또 더욱 오래 보존할 수 있는 식품을 만드는 과정이다. 교육내용 식품가공이란 농, 축, 수산물을 원료로 물리,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변화를 주어 더욱 가치는 식품을 만들고, 또 더욱 오래 보존할 수 있는 식품을 만드는 과정이다. 교육과정 식품가공실습 : 식품성분 분석, 미생물 배양 및 관찰, 두부, 식혜, 국수, 복숭아 통조림, 사과 젤리, 딸기 잼, 포도주 만들기, 우유 신선도 검사, 아이스 크림, 요구르트 만들기 등. 제과, 제빵 실습 : 식빵, 도우넛, 크림빵, 파운드 케익, 소프트 롤 케익, 오렌지 쿠키 등. 식품가공기기 : 식품가공에 사용되는 각종 기계, 기구 등의 작동 원리 및 사용법. 식품위생 : 식중독, 식품 첨가물의 종류, 식품위생법 등 식품가공 : 식품 가공 산업의 현재와 미래, 농, 축산물 가공의 원리, 식품 저장법 등. 식품미생물 : 식품 미생물의 종류, 미생물 생리, 미생물 분리와 배양, 미생물의 이용. 기타 식품과학, 영양과 식품 등. 실습장 식품 가공실, 제과제빵실, 식품 분석실, 식품 미생물실
복어조리기능사, 제빵기능사, 제과기능사, 복어조리기능사, 양식조리기능사, 일식조리기능사, 중식조리기능사, 한식조리기능사
요식업 및 베이커리 창업, 식품위생관리원, 보건직, 조리사 등 공무원, 일반 식품업체, 농협, 축협 등에 취업
1학년 | 2학년 | 3학년 | 대표번호 | 팩스 | ||||||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
3 | 69 | 69 | 3 | 67 | 67 | 3 | 74 | 74 | 031-644-7351 | 031-633-3276 |
현대 산업사회는 과학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고도로 정보화 된 다양성의 시대라 할 수 있으며, 전자 공업이 산업의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정보산업사회를 주도해가고 있다. 이러한 전자공업의 근간이 되는 전자 공학은 일상 생활에서부터 각종 산업에 이르기까지 적용범위가 다양하다고 볼 수 있다. 본교 디지털전자과에서는 주로 전자, 전기, 통신, 컴퓨터 등에 관련된 이론과 실기를 학습하고 있다. 1992년 2학급으로 출발한 이천제일고등학교 전자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많은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으며, 매년 졸업생의 70% 이상이 대학에 진학하고 나머지는 산업현장으로 진출하여 훌륭한 기능인으로서 그 능력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교육 목표 전자분야에 관한 기초지식과 기능을 습득하여 산업현장에 적응 할 수 있는 능력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을 양성함 교육과정 전기회로 : 전기에 대한 기본 지식 및 회로 실습 전자회로 : 전자에 대한 기본 지식 및 회로실습 컴퓨터 구조 : 컴퓨터 구조에 대한 이론 및 실습 시스템프로그래밍 :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한 이론 및 실습 전문CAD : AUTO-CAD프로그램을 활용한 전문 제도 실습 전자 전산 응용 : 컴퓨터를 활용한 OR-CAD, 로봇실험장치 구동 실습 실습실 및 시설 전자기초실,전자회로실, 전자계산기, 컴퓨터응용
워드프로세서1급, 워드프로세서1급, 컴퓨터활용능력1급, 전자캐드기능사, 정보기술자격(ITQ)시험, 정보처리기능사,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전자계산기기능사, 항공전자정비기능사
반도체, 컴퓨터, 로봇, 통신 및 각종 전자 관련 회사 및 국가기관, 정보 통신분야 등에 진출
1학년 | 2학년 | 3학년 | 대표번호 | 팩스 | ||||||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
3 | 66 | 66 | 3 | 62 | 62 | 3 | 68 | 68 | 031-638-4406 | 031-644-7341 |
국가 기간산업의 근간이 되고 이천시에서 유일하게 본교에만 설치되어 있는 전산응용기계과는 1991년에 설치되어 2011년 현재 2천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전문 인력 양성의 요람이며, 학년당 3개 학급으로 구성되어 있고, 5,308m²(1,606평)의 방대한 면적을 자랑하는 실습관에 첨단 기자재를 보유한 17개 실습실을 운영하여 우수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취업 희망 학생은 일반기계 및 정밀기계분야, CAD, CNC 분야, 자동차 분야, IT관련 업체, 첨단 가공 업체 등으로 100% 취업을 알선하고 있으며,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에게는 전문계 특별 전형 등을 통한 진로의 꿈을 이루어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교육 목표 컴퓨터를 활용한 부품 설계, 디자인, 가공 기술을 습득하여 첨산 IT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 기술인 양성을 목표로 함 교육 과정 전문제도 : 제도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기본적인 도면 작성 CAD : 컴퓨터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도 작업을 하고 새로운 제품을 디자인 기계 기초 공작 : 측정, 기계 가공, 용접, 판금, 배관, 주조 등 기계 공작의 기초 지식과 기술을 습득 공작 기계Ⅰ: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선반, 밀링, 연삭, 수치 제어 선반, 머시닝 센터 작업 등 각종 공작 기계에 의한 가공 방법 공작 기계Ⅱ : 컴퓨터를 이용한 기계 가공에 관한 기초 지식과 기술을 익혀 수치 제어 선반, 머시닝 센터, CAM,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 등을 이용하여 각종 기계 부품을 가공 자동차 새시 : 우리 생활과 밀접한 자동차의 구조와 지식을 습득 금속 재료 : 금속의 제조, 가공, 처리, 시험과 검사, 첨단 소재의 특성 및 제조법 자동화설비 : 자동화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 실습실 및 시설 CAD/CAM실, 공업제도실, 배관용접실, 금형연구실, 보석가공실, 공작기계실, 자동제어실, 측정실, 재료준비실, 수치제어실, 프로그램실, 밀링실, 선반실
기계조립기능사,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보석가공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보석감정사, 컴퓨터운용사, 워드프로세서1급, 컴퓨터활용능력1급, 용접기능사, 기계조립기능사
일반기계업체, 정밀기계업체, CAD/CAM분야, 자동차, 항공기, 반도체 장비, CNC공작기계, IT, 첨단가공업체
1학년 | 2학년 | 3학년 | 대표번호 | 팩스 | ||||||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
1 | 24 | 24 | 1 | 20 | 20 | 1 | 20 | 20 | 031-644-7331 | 031-633-3276 |
농업의 한 부분으로 원포(園圃)·온실·프레임 등의 과수·채소·화 훼 등을 포함하여 우리 생활에 필요한 작물 을 생산하고 이를 가공·개량하며, 또 장식용에도 제공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연혁 이천 지역이 온천을 중심으로 도시농업으로 변화되어 1984년도에 신설되어 1987년에 첫 졸업생 배출. 교육내용 원예, 조경, 농업기해, 농업기초기술, 원예기술, 생물공학기초, 농업기계, 농업정보관리, 조경기술 전공과목 농업실습 : 원예작물의 번식, 재배, 분재 가꾸기, 국화가꾸기, 장미의 아침재배, 거배라양액재배, 우리농작물 가꾸기. 생물공학 : 무균실을 이용한 식물의 조직배양, 풍란의 조직배양, 배지만들기, 치상하기, 순화 시키기 등. 채소원예 : 열매채소, 뿌리 채소, 잎 채소의 가꾸기와 이용. 과수원예 : 사과, 배, 감, 포도, 밤 등 과수의 번식과 재배법. 화훼원예 : P.C 온실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장미 절화 재배, pan and pan 방식에 의한 무인자동화 시스템과 태양열을 이용한 난방방식으로 풍란재배. 조경 : 화단 만들기, 정원 만들기, 정원설계, 정원시공 등. 농업발전 : 농업일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방향. 실습장 최첨단유리온실, 분재포장, 조직배양실, 농업기초실습실, 야생화재배실, 채소포장, 화훼포장, 농작물전시포장, 무궁화 동산, 실습용 연동하우스 3동 등
원예기능사, 종자기능사, 분재관리사, 원예기능사, 화훼장식기능사
원예시험장, 과수채소화훼 연구소, 농업유전공학연구소, 농촌진흥원, 진흥청산하기관, 농업협동조합, 농업일반 및 특수조합, 종묘회사, 농산물유통공사, 농촌진흥공사, 조경회사, 조경 수목 생산농장, 조직배양 묘목 생산 공장 등
1학년 | 2학년 | 3학년 | 대표번호 | 팩스 | ||||||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
1 | 23 | 23 | 1 | 22 | 22 | 1 | 25 | 25 | 031-644-7361 | 031-633-3276 |
1992년 도예디자인과 설립하고 2003년 요업디자인과로 학과를 개편하여 2011년 현재까지 도예분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급은 1개 학급으로 구성되어 있고, 2개의 실습동과 전통가마1기 현대식가마 5기 라꾸가마 1기 화덕가마 1기 등 다양한 소성기자재를 활용한 도자문화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첨단 교육용 프로그램 CAD/CAM을 활용하여 전통과 현대문화를 모두 접해볼 수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어 시대에 앞서가는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취업을 희망 학생에 대하여 적극적인 취업활동을 돕고 있고,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교육 목표 도자와 디자인에 대한 재능을 습득하게 하여 국가의 도자문화 예술을 이끌어갈 수 있는 전문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과정 물레성형실습 : 도자기 제작 과정의 기초과정으로서 물레를 사용하여 도자기를 성형함 기능성세라믹 : 옛 도자기의 원료와 유약을 연구하여 재현하고 새로운 유약을 실험함 산업도자실습 : 같은 형태의 도자기를 대량생산하는 과정을 다양한 공정을 통해 익힘 세라믹디자인 : 도자기 형태를 디자인하고 도자기 표면을 장식하는 기법을 익힘 제품도자 : CAD/CAM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계 및 디자인하고 제품화하는 과정 실습실 및 시설 물레성형실, 시유소성실, 석고제형실, 컴퓨터실
도자기공예기능사
도자기공방, 도자기생산공장, 건축도자분야, 석고제형분야, 전사인쇄분야, 원형가공업체, 조형물제작업체, 도자기원료공장, 도자기재료상, 도자기전시장안내원, 유아미술지도교사, 도예과교사, 도예과교수, 요업개발원 등
1학년 | 2학년 | 3학년 | 대표번호 | 팩스 | ||||||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학급 | 정원 | 학생 | ||
1 | 24 | 24 | 1 | 22 | 22 | 1 | 24 | 24 | 031-644-7331 | 031-633-3276 |
1959년에 설치되어 2011년 현재 47회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한 개 학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습실로는 측량의 기초인 수준측량의 자동레벨부터 빛을 이용한 광파측량기까지 최근에 사용되는 첨단 기자재를 활용, 실습이 가능한 측량실습실, 토목재료시공에 관련된 기초실험을 할 수 있는 토목재료실, 학생 1人당 1대의 제도판이 갖추어진 토목제도실과 컴퓨터 제도를 할 수 있는 농업정보실을 갖추고 있다. 이곳을 졸업한 졸업생들은 이천 및 경기도 지역을 포함한 전국 각지의 관공서와 정부 투자 기관 및 우량 중소기업 등에서 각자 맡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교육 목표 농업토목에 대한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익혀 산업반전에 기여하고 자아실현을 성취 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진 기술인을 양성한다 교육과정 측량 : 지구상의 각 점의 위치를 찾는 학문 농업토목기술 : 농업토목과 관련된 종합실습(측량, 재료, 토질, 설계 및 제도) 수리토질 : 물 및 흙에 대한 역학적인 원리를 익히는 학문 토목재료시공 : 토목에 이용되는 각종 재료 및 시공에 대한 학문 농업기계 : 농업과 농업토목에 이용되는 각종 기계 및 중장비의 원리 및 이론을 익히는 학문 실습실 및 시설 토목재료실습실, 측량실습실, 토목제도실습실, 농업기계실, 농업정보실
건설재료시험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지적기능사, 콘크리트기능사,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건설재료시험기능사, 측량기능사
건설시공업체, 측량 및 설계사무소, 감리회사, 레미콘 및 각종 콘크리트제품 제작회사 토목직 공무원 및 농협, 정부투자기관(도로 주택, 토지개발, 수자원, 도시개발공사, 지적공사 등)